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란?
사회 초년생들 이제 막 사회에 나가는 청년들에게 월세 및 전세가 부담되는 것을 지원해주는 방안이다.
주거비 부담완화정책으로 다양한 정책들을 활용하는데 그중 하나가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다.
그 외에도 중소기업을 다니는 중소기업 청년 대출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오늘은 청년 버팀목 25세에서 35세로 변경된 내용을 말할 내용이니 버팀목 이야기를 진행해보겠다.
대출 대상
이전 만 19세 이상~ 만25세 미만으로 되어있던 청년 대출이었다.
이번 확대로 인해서 만 19세이상 ~ 만 34세 이하의 청년이다.
단독세대주와 무주택자가 조건이며 단독세대주는 예비 세대주 역시 가능하다.
직장인이 아니더라도 대학생,취업준비생,사회초년생등 청년이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의 청년이 대상.
지원내용
임차보증금을 저렴한 금액으로 지원해주는 방안으로
기본 보증금 3500만 원 이하의 주택 1.8~2.7% 금리로 지원을 해주고 있었다.
이번 바뀐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지원금액이 늘어나면서 금리가 인하되었다.
그렇기에 더 많은 금액을 더욱 저렴하게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내용입니다.
이전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한도를350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인상했습니다.
금리는 1.2~1.8%로 금액을 낮췄습니다.
중소기업 청년 대출 등 1.2프로의 대출금리가 가능한 전세 대출들을 만들어서 사회초년생 등
주거 환경을 신경써주기 위한 방안입니다.
대출 필요서류
부동산 계약서
부동산에서 공인중개사의 서명 및 날인된 임대차 계약서를 챙겨야 합니다.
계약한 주택 소재지의 주민센터를 방문해 확정일자를 받고 은행에 제출해야 합니다.
임차보증금 5% 이상 지불한 영수증 역시 같이 챙겨가야 합니다.
계약 시에는 꼭 전세자금 대출 불가시 계약금 반환조건으로 계약을 진행해 주셔야 해요.
그 외 은행에서 추가로 발급을 원하겠지만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 초본, 가족관계 증명서, 재직 증명서, 소득금액 증명원, 원천징수 영수증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기타 필요 은행 서류들이 필요합니다.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매 vs 증여 부동산 정책이 주는 딜레마 (0) | 2020.03.27 |
---|---|
신혼부부 주거복지 프로그램!공공 임대주택,공공 지원 주택 (0) | 2020.03.21 |
착한 임대인 운동!!!?소상공인 임대료 지원방안 (2) | 2020.03.20 |
부동산 중개 수수료율 확인하고 계약하자 (0) | 2020.03.17 |
KB부동산 시세!! 신빙성있는 시세 조회 KB부동산 시세!!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