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대차보호법2

계약갱신청구 거부 가능 상황?? 계약갱신청구 예외상황 계약갱신청구권 문제계약갱신청구권 문제로 화제가 되고있는 상황입니다.2+2년 갱신청구권이 임차인의 의도대로 되는 법안이기 때문에계약서 작성이 무슨의미가 있느냐는 말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계약서는 2년인데 2년연장할지 안할지 임차인 마음대로 진행되는계약이계약서의 무슨의미가 있느냐는 말이 많습니다.임대인이 부동산매매를 하기 위해서는 임차인의 동의가 필요하다집을 거주하기 위해 부동산 매매를 할때 매수인이 실거주가 어려울수 있다.실제 실거주 가능한 집들이 매매가격을 더 높게 매물을 내놓고 있다. 계약갱신청구권 거부 가능사항임차인이 2기의 차임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연체하는경우임차인이 거짓이나 그 밖에 부정한 방법으로 임차한 경우서로 합의하여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보상을 한 경우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 없이 전대한 경.. 2020. 9. 21.
임대차 전세,월세 변경된 묵시적갱신 알아봅시다.주택임대차 보호법 묵시적 갱신이란?처음 들어보시는 분들은 단어가 생소할수 있습니다.묵시적 갱신이라 함은 쉽게 말해서 임대차(전세,월세)계약이 만료 되었을 때서로 계약 만료에 대한 의사를 밝히지 않게 되면 묵시적으로 계약이 갱신됩니다.전세,월세 둘다 계약 만료가 도래했을때 의사표현을 해야 만료가 된다는점 알아두세요이렇게 계약 만료가 왔을때 서로의 의사표현을 하지 않았을때 저절로 갱신되는임대차 계약을 묵시적 갱신이라고 합니다. 주택임대차 보호법 묵시적 갱신의 장단점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묵시적 갱신은 임차인에게 장점이 대부분인 법입니다.그렇기 때문에 임차인 입장에서 장점을 말해드리겠습니다.주택 임대차 보호법 묵시적 갱신 장점1임차인의 장점 첫 번째 우선 계약기간이 자동연장으로 인해서 2년까지 살수있는 권한하지만 연장계약.. 2020. 6. 4.